‘트래블 버블’ 등 여행자 증가 맞춰 항공·면세업계 지원
무착륙비행 2만6천명 이용…면세품 391억원어치 구매
[이지경제=김진이 기자] 무착륙국제비행과 여행안전권역(트래블버블)이 감염병 사태로 위축된 여행 및 면세업계의 숨통을 틔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0월말까지 11개월 동안 2만6000여명(총252편)이 무착륙비행을 다녀왔다.
또 이들로 약 391억원의 면세점 매출이 발생했다. 1인당 평균 구매액은 약 148만원이다.
화장품이 전체 매출액 중 25.4%(97억원)를 차지했고, 이어 가방류(17.3%), 향수(12.8%), 주류(6.4%), 담배(0.8%) 순으로 많았다.
구매처별로는 시내 면세점이 90.6%로 가장 비중이 컸고, 이어 출국장 면세점(7.4%), 기내 면세품(2.0%), 입국장 면세점(0.05%) 순이었다.
무착륙 국제관광비행을 하면서 면세한도 미화 600달러를 초과하는 면세품을 구매해 관세 등을 납부한 사람도 1만1291명(42.8%)에 달했다.
또 최근 3개월간 여행안전권역인 사이판(미국령 북마리아나제도)으로 해외여행을 다녀온 내국인이 25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말까지 사이판 여행을 예약한 사람까지 고려하면 여행자 수가 1만명을 훌쩍 넘을 전망이다.
지난 7월 24일부터 10월 말까지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사이판에 다녀온 우리 국민은 2517명이다. 지난 7월 14명에서 8월 43명, 9월 629명, 10월 1831명 등으로 규모가 빠르게 늘었다.
11∼12월 사이판 여행을 예약한 사람은 지난 11일 기준 8400명에 이른다. 미리 예약한 사람만 고려해도 올해 7월부터 5개월여간 총 1만900여명이 사이판에 다녀오게 되는 셈이다.
이달 15일부터 인천∼싱가포르로 여행안전권역이 확대됐고, 이달 중 김해∼사이판 노선도 운영될 예정인 점을 고려하면 해외 여행객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 간 트래블 버블 협정에 따라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격리 없이 사이판이나 싱가포르를 여행할 수 있다.
관세청은 “무착륙 국제비행과 트래블버블 여행자의 신속통관을 지원하고 이를 악용한 불법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테러·마약 우범자 및 과다 반입자 등에 대한 검사를 강화해 위험 요인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 여행객에 ‘손짓’…티웨이, 할인항공·에어서울, 도심 라운지
- 코로나와 동행, 공항면세점도 ‘기지개’
- 인천·한국공항公, 항공 수요 회복위해 팔 걷었다
- 상복 터진 인천공항公…ESG 경영 혁신·사회적가치 창출 ‘인정’
- 티웨이항공, 반려동물 이벤트 시즌3 실시
- ‘보복 여행(?)’…국내외 관광객 늘어난다
- 항공업계 ‘착한 발걸음’…ESG 경영 강화
- 政, 코로나19 종료의지 없다…日 신규확진자 3천명 시대 개막
- 신규확진 ‘월요일’ 발표 최다 2천827명…위중증 515명
- LCC, 항공 수요 ‘조기’ 회복 이벤트 ‘활발’…에어서울·진에어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3분기 잘 날았다…화물 덕, 여객은 아직
- “신규 확진자 어디서 나오나”…22일 2천699명 확진
- 손창완 한국공항公 사장, ‘세이프 아프간 위민 챌린지’ 동참
- 인천공항 개항 20년 만에 연간화물 물동량 300만톤 돌파
- 오미크론發, 거리두기 4단계 수준…대형항공사·LCC, 희비갈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