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내 반도체 테스트 분야 글로벌 톱5 목표
[이지경제=이승렬 기자] 두산그룹이 향후 5년간 반도체 분야에 1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두산테스나를 ‘반도체 테스트 분야 글로벌 톱5’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업계에서는 박정원 회장이 그룹의 미래를 위해 승부수를 띄운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두산그룹은 박 회장이 14일 경기도 서안성의 두산테스나 사업장을 찾아 이종도 두산테스나 사장 등 주요 경영진과 함께 사업 현황 및 중장기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이같은 중장기 투자계획을 밝혔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박 회장은 “반도체는 두산의 새로운 승부처로서 기존 핵심 사업인 에너지, 기계 분야와 더불어 또 하나의 성장 축이 될 것”이라며 “두산테스나가 국내 시스템 반도체 분야 ‘최고의 파트너 기업’으로 자리 잡고, 나아가 5년 내 반도체 테스트 분야 글로벌 톱5로 성장하도록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이날 방진복을 입고 두산테스나의 주력 사업인 웨이퍼 테스트 라인을 꼼꼼히 살펴봤다.
두산테스나는 고도화가 계속 진행 중인 스마트폰 성능과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에 발맞춰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는 중이다.
지난달 1240억원을 투자해 테스트 장비를 추가하기로 결정했으며, 2024년 말 준공을 목표로 신규 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등 5년간 1조원 가량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는 게 두산그룹의 설명이다.
이를 통해 연평균 성장률(CAGR) 20% 수준의 고성장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두산테스나는 국내 1위 반도체 테스트 기업으로, 두산그룹은 4월 이 회사를 4600억원에 인수하면서 반도체 사업을 미래 성장 사업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두산그룹은 지난 4월 두산테스나를 4600억원에 인수했다.
두산테스나는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전문 회사다. ‘핸드폰의 두뇌’로 불리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와 카메라 이미지 센서(CIS), 무선통신칩(RF) 등 시스템 반도체 제품의 설계·제조 후 테스트를 전문으로 하는 후공정(OSAT)을 담당한다.
국내 웨이퍼 테스트 분야 시장점유율 1위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지난해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076억원, 540억원이다.
웨이퍼 테스트는 반도체 칩이 새겨진 원형 웨이퍼를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납품받아 전기, 온도, 기능 테스트를 진행해 양품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이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과 시스템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국내 후공정 기업 중 글로벌 톱10 안에 이름을 올린 기업은 아직 없다”며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후공정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테스트 장비, 첨단 패키징 등 반도체 생태계 내에서 추가 진출을 폭넓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현대건설, 차세대 원전사업 세계 1위 도약 본격화
- SKT · KT 새로운 서비스로 고객 관심 ‘한눈에’
- 삼성전자,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개최
- 이재용, 네덜란드 총리 만나 “ASML 장비 안정적 공급 요청”
- SK온-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 사업 맞손…소재부터 재활용까지 협력
- 스타트업 스마트잭 ‘코리아랩’에 출사표
- LG전자, CJ대한통운과 ‘차세대 물류 로봇 시장’ 본격 진출
- 이재용 ‘반도체 외교’…네덜란드 ASML부터 챙겼다
- 카카오택시에서 영화보고 택시비 포인트도 받고
- 현대중공업·롯데마트, 탄소중립 발걸음에 박차
- SK·CJ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앞장
- 우리은행 인니 우수은행 선정…카카오페이·국민카드 글로벌시장 협약
- [오늘의 금융보험家] ‘KB모바일인증서’ 1천100만명 돌파…우리은행 고졸채용 확대
- [오늘의 금융家] 우리PE자산운용, 500억 유상증자 실시
- 한화건설,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 2023년 개장 추진
- DL에너지, 나이스 신용등급 ‘A0’ 상향
- LG화학, 화성시와 PVC 폐벽지 재활용 길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