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경제=이승렬 기자] LG화학이 배터리 소재 사업 경쟁력 강화와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3억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녹색채권)를 발행했다고 8일 밝혔다.

그린본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돼 유통되는 국제 채권으로 발행대금 용도가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등의 친환경 프로젝트 및 인프라 투자에 한정된다.
LG화학은 그린본드로 확보한 자금을 양극재, 분리막 등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 분야에 전액 투자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올 1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IPO) 당시 구주 매출을 통해 확보한 2조5000억원을 포함해 이번 그린본드 발행 및 시설대금 차입 등으로 올해에만 총 3조5000억원 규모의 투자 재원을 확보할 전망이다.
LG화학은 지난 1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매년 4조원 규모의 시설투자를 집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번 그린본드는 달러(USD)로 발행되며 3년 만기 3억달러의 단일 채권으로 구성됐다. 금리는 고정금리로 미국 3년물 국채금리 3.036%에 1.400%포인트(p)를 더한 4.436%의 금리로 결정됐다.
LG화학 관계자는 “불안정한 국제 정세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투자심리 악화에도 불구하고 3대 신성장동력 사업과 관련해 투자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며 외화를 조달할 수 있게 됐다”며 “1월 글로벌 신용평가사 S&P는 LG화학 신용등급 전망을 BBB+(Stable·안정적)에서 BBB+(Positive·긍정적)로, 지난 2월 무디스는 Baa1(Positive·긍정적)에서 A3(Stable·안정적)로 상향 조정함에 따라 예상보다 개선된 조건으로 그린본드를 발행했다”고 말했다.
- 산업부, EU택소노미 원전 포함에 ”원전수출 기회 확대“
- LG엔솔, 2분기 잠정 영업익 1천956억…전년보다 73%↓
- 삼성전자, 포장재에 친환경 소재 적용 확대
- 삼성엔지니어링, 사우디 아람코의 EPC 파트너사로 선정
- 산업계 폐자원→산업연료 이용 확대…‘순환경제 상생라운지’ 개최
- 3년 만에 돌아온 ‘K’, 코로나에도 3천여개사 출품
- 유럽간 LG엔솔 권영수 부회장…폴란드서 배터리ㆍ스마트팩토리 점검
- SK에코플랜트, 프리IPO 마무리…자본 1조원 유치
- 7월의 호캉스… 도심 야외풀장, 유명아티스트와 함께
- 고물가에 편의점 도시락 인기…든든한 한끼 메뉴 출시
- LG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재생에너지 전환·폐기물 재활용”
- 순한 맛 맥주 … 저알콜·무알콜 맥주 크게 늘었다
- “신산업 수출유망품목 발굴”…산업부, 세계일류상품 신청 접수
- 폐페트병이 스니커즈·방진복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