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박스 이어 완충재·지퍼백에도 친환경 소재 적용
[이지경제=신광렬 기자] 삼성전자가 친환경 포장재 활용을 늘리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6일 스마트기기 부품 배송 때 사용하는 포장재에 친환경 소재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달부터 생산공장에서 국내 서비스센터로 서비스 자재를 보낼 때 쓰는 박스와 테이프를 친환경 소재로 바꾼 데 이어 이날부터는 종이 완충재와 친환경 인증 지퍼백을 사용한다.
삼성전자는 다음 달까지 모든 서비스센터에 친환경 포장재를 도입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326톤(t)의 탄소배출 감축 효과를 거둘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했다. 30년생 소나무 약 3만 8000여그루가 1년동안 흡수하는 양이다.
또 삼성전자는 해외 서비스센터에서 수리된 제품의 배송 박스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해 10월을 시작으로 수리 후 제품 배송 박스에 친환경 소재를 적용해 왔으며 향후 전 세계 31개국 주요 서비스 센터에 이를 확대할 계획이다.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배송 박스는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도록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적용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배송 박스를 모바일 기기 거치대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동영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박스 내부에 있는 QR 코드를 인식하면 된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부터 영수증, 명세서 등 종이 인쇄물을 전자문서 형태로 발급하는 ‘페이퍼 프리’ 시스템을 전 세계 180개국 서비스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다.
김형남 삼성전자 글로벌 CS센터 부사장은 “고객 만족과 친환경 가치를 모두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산업계 폐자원→산업연료 이용 확대…‘순환경제 상생라운지’ 개최
- 3년 만에 돌아온 ‘K’, 코로나에도 3천여개사 출품
- SK이노, 그린트랜스포메이션…“성공 가능성 높은 전략”
- [이지경제 뉴스데스크] CJ제일제당, 생분해성 플라스틱 실증 성공
- CJ프레시웨이, 3년간 성과 담은 ‘ESG경영’ 보고서 발간
- 삼성전자, 여름철 에너지 절약 위한 업데이트 진행
- CJ제일제당, 국내 환경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실증 최초 성공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탄소제로’ 수소엔진 개발 본격화
- SK· 신세계, 고객과 함께 폐자원 선순환에 앞장
- [이지경제 만나다] 푸드테크 스타트업, 이그니스 박찬호 대표이사
- LG유플러스, 노키아와 함께 6G 시대 연다
- 고정관념 깬 홈쇼핑.... 드라마 소개방송 vs 신차 발표자 가상인간활용
- KT, 6개 스타트업과 올레 tv 서비스 혁신 나선다
- 산업부, ‘22년 우수기업연구소 기업 44개 신규 지정
- 韓 조선업, 상반기 세계 발주량 46% 수주…4년만에 1위 탈환
- 한화·대우 등 건설업계, ESG 경영 ‘선도’
- 써브웨이, 메뉴 74종 가격 인상…15㎝ 샌드위치 300∼500원↑
- 삼성전자, 실적방어 ‘성공’…2분기 매출 77조원
- kt클라우드, 26MW급 초대규모 ‘가산 IDC’ 착공
- 지역경제 이끌 ‘지역대표’ 중견기업 5곳 신규 선정
- 동원그룹 상장 계열사 3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삼성전자, 중남미 외교사절단 잇따라 접견
- ‘쾌적가전’ 뜬다…장마철 습기 안녕, 뽀송한 여름
- LG엔솔, 2분기 잠정 영업익 1천956억…전년보다 73%↓
- LG화학, 녹색채권 3억달러 발행…배터리 소재 사업에 투자
- LG·삼성, 디자인으로 소비자 홀린다
- 폐페트병이 스니커즈·방진복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