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 수소전기차 내구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한 핵심 소재
[이지경제=김성미 기자] 현대차·기아가 연료전지 기술을 선도하는 전해질막 공동개발에 돌입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미국 더블유엘고어앤드어소시에이츠(W. L. Gore & Associates)와 현대차·기아 마북연구소에서 공동개발 협약식을 갖고 차세대 상용 수소전기차에 탑재하기 위한 전해질막을 함께 개발한다고 5일 밝혔다.

고어는 소재 과학 및 엔지니어링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다.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MEA(막전극접합체) 원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전해질막 양산화에 성공하기도 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세계 주요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및 연료전지 전문사에 전해질막과 MEA를 공급하며 수소산업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전해질막은 수소연료전지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품이다. 수소가스에서 분리된 전자의 이동은 막고 수소이온만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해질막의 수소 이온 전도도에 따라 연료전지 내 화학반응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해질막은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의 출력 향상과 내구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현대차·기아는 고어와의 협약을 통해 차세대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될 최적의 전해질막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기아는 차세대 전해질막을 적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할 경우 기존 상용 수소전기차보다 내구성 및 성능이 대폭 향상된 차량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고어는 2013년 출시된 현대차 최초의 양산형 수소전기차인 투싼ix35 FCEV에 이어 2세대 수소전기차인 넥쏘에 전해질막을 공급하는 등 15년 이상 현대차와의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양사는 전해질막 공동개발과 함께 관련 기술의 적용범위를 지속 확대하는 등 협업 분야를 다각화하고 있다.
김창환 현대차·기아 수소연료전지개발센터장(전무)는 “고어와의 오랜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상용 수소전기차에 요구되는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하고자 한다”며 “차세대 전해질막을 개발함으로써 연료전지 분야의 최신 기술을 선점하고 나아가 더욱 경쟁력 있는 수소전기차를 세상에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셸 어거스틴 고어 클린 에너지 비즈니스 그룹 리더는 “우리의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막 기술 솔루션을 기반으로 현대차·기아가 고객에게 성능 및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수소전기차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며 “현대차·기아와 이어온 오랜 파트너십을 더욱 발전시키길 기대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 LG전자, 마그나와 '자율주행 통합 플랫폼' 개발
- 현대차·기아, 삼성전자와 맞손…‘주거-이동공간’ 경계 없앤다
- BYD, 2023년 판매 목표 300만대 달성
- 지난해 신규등록 수입 승용차 27만1034대…4.4% 감소
- 완성차 3사, 지난해 777만대 판매…사상 최대 실적
- 정의선 현대차 회장 “한결같고 끊임없는 변화로 성장”
- HMM, 탄소배출량 산정 그린 세일링 서비스 시작
- 기아 EV9, ‘북미 올해의 차’ 선정…SUV 부문 2년 연속 수상
- 동국제약, 2023년 사회공헌활동 등 ESG 경영 활발
- 동아ST,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미 FDA 품목허가 신청 완료
- [CES 2024] 우리나라 역대 최대 ‘통합한국관’ 운영
- [CES 2024] 중기부, CES 유레카파크서 ‘K-스타트업 통합관’ 운영
- 금호타이어, 자동차 사고 유자녀에 멘토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