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업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펄스(Project Pulse)’ 출범
금융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가능성 모색나서
조각투자·혁신금융서비스에 블록체인 금융 인프라 제공

[이지경제=정석규 기자] 신한투자증권, SK증권, 블록체인글로벌 3사는 금융 인프라와 웹3.0 서비스 간 상승효고 모색을 위한 ‘프로젝트 펄스’를 출범한다고 18일 밝혔다.
프로젝트 펄스는 금융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협업 이니셔티브다. 토큰증권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취지로 설립됐다.
프로젝트 펄스의 첫번째 활동은 조각투자 및 혁신금융 서비스 사업자 대상으로 블록체인 금융 인프라 시범 사업을 운영해 손쉬운 토큰증권 발행과 유통을 위한 최적의 인프라와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참여 기업은 블록체인 기술 기업인 블록체인글로벌의 시큐체인 기반 토큰증권 인프라와 신한투자증권과 SK증권의 비즈니스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3사는 비용 효율화뿐만 아니라 조각투자사업자 및 혁신금융서비스 사업자가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사업을 마련한다.
블록체인글로벌은 조각투자 사업자의 혁신금융 서비스 인프라 및 플랫폼 전체 구축 경험과 관련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프로젝트 펄스의 참여 기업은 별도 구축 비용 없이 월 구독료 형태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향후 토큰증권 관련 법이 개정되더라도 기존 인프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신한투자증권과 SK증권은 혁신금융서비스를 위한 토큰증권 계좌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발행부터 청산까지 토큰증권 업무 전반을 경험한 증권사다.
내재된 역량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초자산 상품 구조화 ▲계좌 관리 ▲분산원장 ▲증권사 등 계좌에 증권 소유 내역을 기록하는 미러링 시스템을 포함한 규제 대응 지원 등 사업자 맞춤형 원스탑 비즈니스 컨설팅을 제공한다.
프로젝트 펄스 관계자는 “프로젝트 펄스는 조각투자 사업자가 토큰증권 관련 법 개정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시장 선점을 시도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다”며 “싱가포르의 ‘프로젝트 가디언’과 같이 프로젝트 펄스가 국내 디지털자산 시장 발전의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프로젝트 가디언은 싱가포르투자청과 JP모건 등 다수의 금융 기업, 핀테크 기업들이 협력한 자산 토큰화, 탈중앙화 금융(DeFi) 검증 프로젝트다.
- [현장] 위메이드, NFT 플랫폼 ‘나일’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 신한은행, 미술품 조각투자 '열매컴퍼니'와 업무협약
- [단독] 모리카와 CEO "유저 주권형 가상자산 지갑을 위해"
- 쟁글, 삼정KPMG와 가상자산 회계 처리 MOU 체결
- 주식처럼 매매하는 조각투자 상품 시장 열린다
- 한국투자證, 스탁키퍼와 토큰증권 상품 공급 업무협약 체결
- 3연속 조기마감 ’뮤직카우’, 3월에 god 노래 2곡 연달아 오픈
- 카사, 새해 첫 공모건물 ‘그레인바운더리 빌딩’ 공개
- 증권성 얻은 조각투자, 제도권 안착 과제는?
- KCC글라스, 서초구와 자립준비청년 지원
- 신한증권, 신용융자 0% 7일물 이벤트 실시
- 신한證, 어린이 에듀핀테크 기업 레몬트리와 MOU 체결
- 뮤직카우, 옥션 완판 5회 달성 후 감사 이벤트 개최
- 신한투자증권, 예탁원 연동시스템 ‘벤처넷‘ 출시
- 신한증권, IRP 수수료 평생 무료 시행
- 하나증권, 서울옥션블루와 ‘미술품 조각투자상품‘ 출시 맞손
- 한은, 하반기 CBDC 실험 앞두고 디지털 인프라 개선 속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