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5조원에서 1.2조원가량↓
”외환·유가증권 매매순익 감소 때문”

[이지경제=정석규 기자] 지난해 한국은행의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1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상승으로 외화채권가격이 내려가며 16년 만에 최저 실적을 기록하게 됐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3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순이익은 1조362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2조5452억원)보다 1조1830억원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순이익 규모는 2007년(-4447억원)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순이익 급감과 관련 외환 매매와 유가증권 매매 총수익 감소에 따른 결과라고 설명했다.
총수익은 19조4469억원으로 2022년보다 1조5478억원 줄었다. 외환 매매익(9655억원)이 1조3414억원, 유가증권 매매익(4조7509억원)이 1조9847억원 감소했다.
총비용도 17조5829억원으로 1153억원 줄었다. 유가증권 매매손(9조883억원)이 6424억원 감소한 영향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국내 금리 상승 영향으로 한은이 보유한 외화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외환 매매익도 감소했다”며 “지난 2022년 환율 변동 폭 확대로 외환 매매익이 많이 발생했다가 지난해 줄어든 (기저효과)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순이익이 줄면서 정부 환입액도 축소됐다. 한국은행은 순이익 가운데 30%(4087억원)의 법정적립금 등을 제외한 9221억원을 정부 세입으로 처리했다.
한편, 한국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536조4019억원으로 2022년 말(582조8261억원)보다 46조4242억원 감소했다.
부채(514조9018억원)는 환매조건부매각증권 수익이 줄며 지난해보다 46조47억원 감소했다.
- 한은 ”PF 부실 확산 시 저축은행 자본비율 상당폭 하락”
- 서영경 금통위원 ”중앙은행, 새로운 경제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 지난해 말 은행 부실채권 비율 0.47%…부실채권 전분기보다 1조 증가
- 한국은행 “소비자물가, 추세적으로 둔화할 것“
- 자영업자 못 갚는 대출 27조원 넘어...20대 사장 연체율 1위
- 피자헛, 3월 마지막 48% 할인 ‘SKT 0 데이’ 프로모션
- “수산 코너 할인 폭탄”...롯데마트, 창립 기념 활 대게 50%
- 애경산업 김상준 대표이사 자사주 매입...“책임경영 실천”
- 유통업계, 만우절 프로모션 ‘빵빵’
- [이지기획] 부동산PF 연체율 상승세 지속...올해 총선 이후 전망은?
- 금호석화 박철완 최대주주...자사주 절반 소각 긍정적 평가
- 진흥기업, 신임 대표이사로 김태균 부사장 선임
- 한국은행, ‘2024 통화정책 경시대회’ 개최
- 조윤제 금통위원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
- "월급 빼고 다 오르네"...수입물가 3개월 연속↑
- “월급보단 근무환경”...한은이 뽑은 '좋은 직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