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경제=정수남 기자] 그냥 개, 애완견, 반려견.
국내에서 개의 위상을 대변하는 단어다.
예전에는 ‘그냥’ 개로 불렸다. 그러다 1980년대 부터는 애완견(愛玩犬)으로 발전했다. 개가 좋아하고 귀여워하고, 사랑해야 하는 존재로 부상한 것이다.
그러다 2000년대 들어서는 반려견(伴侶犬)으로 삶의 동반자로 자리매김 했다.
이로 인해 현재 국내에서는 ‘개 팔자가 상 팔자’라는 속담이 현실이 됐다.
최근 카메라에 잡힌 모습이다.




자유롭지 아니한가?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말 현재 국내 638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다. 이는 전체 가구(2304만)의 27.7%의 비중이며, 전년(591만 가구)보다 각각 8%(47만 가구, 112만명) 증가한 수준이다. 국민 3명당 1명 꼴(5171만명 중 1530만명)로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 [이지경제의 한 컷] 전기차, 물에 약하지만…犬 오줌에 직격탄?
- [이지경제의 한 컷後] 오아시스, 종이테이프 사용·장수돌침대, 주차구역에만 주차
- [이지경제의 한 컷] 이런 게 진짜 ‘치킨게임’
- [이지경제의 한 컷] 새벽을 달리는 사람들…회사 성장 일군다
- 코로나19 신규 확진 395명…이틀 연속 300명대
- [이지경제의 한 컷] 제비 ‘집 지을 터 좀 빌려주세요’
- 식품업계, 여름 성수기 정조준…하림, 신제품·샘표, ESG경영으로
- [이지경제의 한 컷] 염소 ‘로드킬’ 주의보
- [이지경제의 한 컷] 도캉스가 대세…이건, 글쎄?
- 경악, 진돗개도 식용…개농장서 58마리 구조, 11마리가 천연기념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