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디지털지갑 ‘KB 월렛’ 출시
새마을금고,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서비스
카카오페이, ‘동네무료보험’ 서비스 시작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은 일상에 편리함을 더하는 디지털 지갑인 ‘KB Wallet’을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KB Wallet’은 신분, 증명, 결제 등 실물지갑을 대체하는 간편기능에 공공기관 연계 서비스 등 생활밀착형 콘텐츠를 더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KB스타뱅킹 또는 모바일웹에서 간편하게 이용 가능하며, ▲전자증명서 ▲국민비서 ▲쿠폰 ▲전자문서 ▲전자영수증 ▲학생정보 ▲KB Pay ▲인증서 콘텐츠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전자증명서’ 서비스를 이용하면 주민등록표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자주 찾는 증명서를 간편발급 및 보관할 수 있다. 대출신청 등 창구업무 시 제출해야 하는 증명서를 별도의 종이서류 출력 없이 ‘KB 월렛’을 통해 제출 가능하다. ‘국민비서‘는 교통범칙금 등 행정안전부 행정정보를 확인하고 KB스타뱅킹을 통해 바로 납부가 가능한 연계 서비스와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600여 개 고등학교 및 대학교 모바일학생증 서비스 ▲은행 창구에서 발행되는 종이영수증을 이미지 형태로 조회·보관하는 전자영수증 서비스 ▲KB Pay 연계 결제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누구나 생활 속에서 쉽게, 자주 이용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플랫폼을 목표로 고객의 일상에 혜택을 드리는 편리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29일,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서비스를 시작하고 이벤트를 연다.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은 기존에 사용 중인 카드를 온누리상품권 앱에 등록하고 상품권을 구매(충전)한 뒤,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앱에 등록한 실물카드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추석을 맞이해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구매(충전)는 인당 100만원까지 10% 특별할인(8~9월, 예산소진시까지)하여 구매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카드로 이용한 금액은 카드상품 이용실적으로 인정되며, 전통시장에서 이용한 금액은 소득공제가 40%까지 적용된다.
사용처는 전통시장, 골목형상점가 등 전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온누리상품권 앱 내 ‘가맹점포 찾기’ 메뉴에서 손쉽게 조회 가능하다.
새마을금고는 출시기념 이벤트로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잔액 이용 시 할인 캐시백 이벤트를 제공한다. 9월말까지 상품권 잔액 5000원 이상 최초 결제 대금에 대해 5000원 할인 캐시백이 제공된다. 최초 결제한 회원 중 페이북 앱에서 마이태그를 등록한 뒤 2만원 이상 추가 결제 시, 2000원 할인 캐시백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추석기간 동안( 9. 5. ~ 9.12.)에는 슈퍼마켓, 농수산축산품, 정육점 업종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2만원 이상 상품권 잔액 결제 시 3000원 할인 캐시백을 제공한다. 이때 해당 결제 건이 페이북 앱의 마이태그 등록 후 결제한 건이라면, 2000원 추가 할인 캐시백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카카오페이 참고자료] 카카오페이, 행정안전부와 ‘동네무료보험’ 서비스 개시_220830.jpg](https://cdn.ezyeconomy.com/news/photo/202208/119988_70595_3950.jpg)
카카오페이(대표 신원근)가 행정안전부와 함께 ‘시민안전보험’의 인지도 향상과 이용 촉진을 위한 ‘동네무료보험’ 서비스를 개시했다.
‘시민안전보험’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난·사고로부터 피해를 입은 시민들의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위해 마련된 장치로 지방자치단체가 가입해 보험료 전액을 부담하고 있다. 보험에 가입한 지방자치단체에 주소를 두고 있는 시민은 별도 가입 절차 없이 누구나 자동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시민안전보험’을 각 지방자치단체 시민이 더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와 협업해 ‘동네무료보험’ 서비스를 준비했다.
‘동네무료보험’ 서비스에서는 가입 내역 확인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가능하다. 지역별로 보장하는 항목과 금액 등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고 보험금 청구를 위한 방법과 구비서류도 확인할 수 있다.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사례로는 ▲스쿨존에서 교통사고가 나서 치료비를 지급받는 경우(스쿨존 교통사고 부상 치료비) ▲대중교통 이용 중에 넘어져 골절이 발생해 보상을 받는 경우(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 후유 장해) ▲최근 내린 폭우와 같이 자연재해나 큰 사고로 인한 피해(자연재해 사망, 폭발·화재·붕괴 상해사고 사망·후유 장해 등) 등이 대표적이다.
카카오페이는 “행정안전부와 협력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들과 국민들이 ‘시민안전보험’의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이후에도 서비스를 계속 고도화하여 국민들이 더욱 편리한 보험 생활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산업부 내년 예산 10조7천억원
- LG엔솔, 혼다와 美배터리 합작공장 짓는다…5조1천억원 투입
- 현대건설, 베트남 친환경 스마트시티 개발 사업 진출
- DL건설, 도시정비사업 ‘1조 클럽’ 달성
- 한국타이어, 북미 생산량 늘린다
- [이지경제 뉴스데스크] ‘갤럭시 Z’ 플립4·폴드4 전 세계 본격 출시
- 현대 컨소시엄, 용두1구역 공공재개발사업 수주
- 현대엔지니어링-美 USNC, 초소형모듈원전 협력 강화
- KGC인삼공사·KT&G, 품질 강화·ESG 경영 시동 앞장
-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출시
- [항공] 티웨이항공 ‘늦캉스, 몽골로 떠나세요’ 外
- BBQ치킨, CEO체제로 개편… 신임 사장에 정승욱 전 휠라 부사장 영입
- ‘상생소비복권’, 영수증이 복권이 되다
- [건설업계는 지금] ‘솔라시도’, 2022 월드스마트시티 엑스포 참가 등
- [오늘의 금융상품] IBK 콴텍 디지털포트 EMP 펀드 출시 外
- 중기부 내년 예산 13조6천억원…올해보다 28% 감소
- SK(주) 자기주식 사고 ㈜두산 주식 팔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