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텍, 신규 공장 가동·역량 확대…해외 제약사 발주 증가·신규 물량 대비
2024년 M4 증설, 생산역량·매출 2배 확대…고부가가치 신약 파이프라인 증대
CDMO 생산성·품질 대폭 강화, 해외 공략…글로벌 톱티어 CDMO로 사업 육성
[이지경제=김진이 기자] SK㈜가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의 국내 생산역량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SK㈜는 CDMO 손자회사인 SK바이오텍이 9월 세종 단지 내 신규공장 증설을 마치고 가동을 시작했다고 4일 밝혔다.

SK바이오텍은 글로벌 CDMO 통합법인 SK팜테코의 자회사다. SK㈜는 SK팜테코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세종시 명학산업단지에 위치한 SK바이오텍 생산 공장은 이번 증설을 통해 생산역량을 약 190㎥에서 약 290㎥ 규모로 50% 이상 늘렸다. 이는 연간 150톤의 원료의약품 생산이 가능한 규모다.
SK바이오텍은 늘어나는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약 560억원을 투자해 2020년부터 약 2년간의 공사를 거쳐 최근 M3 공장을 준공했다.
이번 증설로 SK바이오텍의 연간 최대 매출 또한 지난해 약 1500억원에서 약 2200억원으로 1.5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CDMO 통합법인 SK팜테코는 지난해 매출 약 8300억원을 기록, 글로벌 5위 규모의 합성의약품 CDMO로 평가받고 있다. SK팜테코는 SK바이오텍을 포함해 미국과 아일랜드에서 진행중인 증설이 끝나면 2~3년내 연매출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바이오텍은 당뇨병 치료제,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중추 질환 치료제 등 고부가 가치 원료의약품을 생산해 미국, 유럽, 일본 등지로 수출하고 있다.
글로벌 주요 제약사들로부터 고품질 원료의약품 생산 역량을 인정받아 핵심 제품은 2015년 이후 발주량이 매년 약 20% 이상 늘어나고 있다.
업계에서도 손꼽히는 SK바이오텍의 연속 공정 기술과 높은 품질 관리 역량 때문에 글로벌 제약사 발주가 늘고 있다. 연속 공정 기술은 자동화를 통해 각 공정 단계마다 끊기지 않고 연속적인 흐름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로, 기존 방식보다 비용·생산성·품질·안전성이 뛰어나며 배출되는 폐기물 양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운영·품질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SK바이오텍 세종 공장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비롯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일본 식약청(PMDA), 호주 의약품허가처(TGA) 등으로부터 ‘우수 의약품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시설로 인증받았다. 환경 관리 국제기준인 ISO 14001, 안전 관리 국제기준인 ISO 45001을 확보해 안전환경 분야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황근주 SK바이오텍 대표는 “SK바이오텍은 차별화된 기술과 품질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아 지속 성장해 왔다”며 “내년 하반기에는 M4 준공을 통해 생산 역량을 400㎥로 확대하고, 글로벌 대표 CDMO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식약처, 양식 수산물 동물용의약품 잔류 확인 수거검사
- 신규확진 이틀째 1만명대…월요일 14주 만에 최소, 1만6천423명
- 식약처, 냉동식품 해동 후 유통, ‘원칙 허용’으로 규제 개선
- 1897년 창립 동화약품, 초기 디자인 재해석한 125주년 기념 ‘활명수’ 출시
- 신규확진 2만8천497명…내일부터 ‘입국 후 PCR 검사’ 해제
- 전문의약품 유효성분, 소비자에 3개까지 공개
- 신규 확진 3만881명…12주 만에 수요일 확진 최소
- 피크닉부터 야외수영장까지…가을느낌 호캉스
- 한국,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이사국 9선 연임
- KT, IPTV 넘어 ‘미디어포털’ 도약 선언
- 현대글로비스, 美 중고차시장 진출
- ‘MZ 세대만‘... SKT·롯데·GS 맞춤형 서비스 출시
- 역대 최대 규모 ‘KES 2022’ 4일 개막
- [오늘의 금융家] 최고 5%, ‘IBK중기근로자우대적금’ 출시 外
- SK하이닉스, 24년까지 국산 네온가스 도입비중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