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9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발표…해외여행 상품·의류 판매 호조
​​​​​​​오프라인 6%·온라인 9% 매출 각각 ↑…이른 추석 연휴에 성장세 둔화

[이지경제=정윤서 기자] 지난달 주요 유통업체들의 온·오프라인 매출이 동시에 늘었지만 증가폭은 다소 둔화했다.

전년 대비 이른 추석 명절 연휴 영향이다. 다만 해외여행 상품 판매 증가로 온라인 서비스 부문 매출은 30% 이상 늘었다.

지난달 주요 유통업체 매출이 전년 대비 이른 추석 명절 연휴 영향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부 활동이 늘며 해외여행 상품 등 서비스·기타 품목, 패션·잡화 품목 매출은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6.3% 오르며 2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서초구 킴스클럽 강남점. 사진=신광렬 기자
9월 주요 유통업체들의 온·오프라인 매출이 동시에 늘었지만, 증가폭은 다소 둔화했다. 서울 서초구 킴스클럽 강남점. 사진=신광렬 기자

3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 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7.5% 상승했다.

지난해보다 코로나19 완화 영향에도 이른 추석 명절로 인해 오프라인(6%)과 온라인(9.1%) 부문 성장세는 둔화했다. 8월에는 오프라인, 온라인 매출 증가세가 각각 두 자릿수였다.

코로나19 기저효과로 야외 활동이 늘며 생활·가정(-0/5%)을 제외한 전체 상품군에서 매출이 늘었다. 특히 서비스·기타(19.6%), 해외유명브랜드(14.2%), 패션·잡화(14%) 등 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오프라인 매출은 아동·스포츠, 패션·잡화 매출이 늘었고 가전·문화, 생활·가정 분야는 하락세였다”며 “온라인 매출은 다양한 판촉행사를 통해 화장품·서비스 등 분야에서 판매 호조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는 백화점(8.5%), 편의점(10.6%)의 매출은 상승했지만, 대형마트(0.3%), 준대규모점포(-0.1%)의 매출은 소폭 하락했다.

백화점은 가정용품(-14.3%), 식품(-12.8%)의 매출은 하락했지만 여성정장(31.3%), 남성의류(20.2%) 등 품목이 전체 매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편의점은 물가 상승 영향으로 구매단가는 낮아졌지만, 야외활동 증가로 이용 객수가 늘며 전 품목에서 판매 호조를 보였다.

대형마트는 전년보다 빠른 추석 명절 기간으로 가정·생활(-5.1%), 가전·문화(-2.8%) 품목은 소폭 하락했다.

준대규모점포(SSM)는 가공식품(5.5%), 신선·조리식품(5%) 등 매출은 올랐지만 생활잡화(-5.1%), 농수축산(-6.5%) 등에서 매출이 감소했다.

온라인 유통업체는 ‘e쿠폰’ 판매 증가와 최근 일본 등 무비자 입국 추진 영향으로 해외여행 상품 판매 호조에 서비스·기타(30.8%) 판매가 급증하며 전체 매출이 상승했다.

또한 다양한 기획행사, 특가 행사로 화장품(12.5%), 식품(9.2%) 등이 분야의 판매는 선전했지만 전년 대비 이른 명절 연휴로 전체적인 상승폭은 다소 둔화했다.

지난달 온라인 매출 비중은 1년 전보다 0.7%포인트(p) 늘어난 46.9%, 온라인 매출 비중은 그만큼 줄어든 53.1%로 각각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