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지에프홀딩스, 현대百·그린푸드 자회사 편입…단일지주사 체제
현물출자 방식 유상증자 완료, 정지선·정교선 형제 지주사 최대주주
[이지경제=김성미 기자] 현대백화점그룹이 단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했다.
지주회사인 현대지에프홀딩스가 공개매수를 통해 주력 계열사인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를 자회사로 편입시켜 그룹의 모든 계열사를 지배하는 구조를 완성한 것이다.

현대지에프홀딩스는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주식 공개 매수와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현대지에프홀딩스는 지주회사 요건을 달성하기 위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주주들로부터 각각 420만1507주와 948만4011주를 받고 그 대가로 자사 신주 9857만6164주를 발행했다. 총 3317억원 규모다.
현물출자 방식 유상증자는 주식을 매수하는 대가로 현금이 아닌 자사 신주를 교환 비율에 따라 발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현대지에프홀딩스는 지주회사 전환을 위해 올해 3월 설립됐다.
이번 현물출자 유상증자 완료로 현대백화점그룹은 정지선 회장·정교선 부회장-현대지에프홀딩스-현대백화점·현대그린푸드 등으로 이어지는 단일 지배구조를 완성하게 됐다.
앞서 현대지에프홀딩스는 지난달 11일부터 이달 1일까지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에 대한 공개매수를 진행했다. 그 결과 현대지에프홀딩스는 현대백화점 지분 30.0%와 현대그린푸드 지분 38.1%를 각각 확보하며 최대주주에 올랐다.
또한 정지선 회장과 정교선 부회장은 이번 현물출자로 각각 38.1%와 28.0%의 지주회사 현대지에프홀딩스 지분을 확보하며 최대주주가 됐다.
앞으로 그룹의 지주회사가 된 현대지에프홀딩스는 그룹 전체의 사업 포트폴리오와 투자 및 리스크 관리, 경영 효율화, 그리고 신사업에 대한 방향성 제시 등의 컨트롤 타워 역할에 집중하게 된다.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각 계열사들은 사업부문별 특성에 맞는 성장전략을 마련해 경영 전문화와 고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현대지에프홀딩스 관계자는 “단일 지주회사 중심의 새로운 지배구조 구축으로 경영 효율성 제고와 그룹 내 계열사간 상승효과 극대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현대지에프홀딩스의 경우 현대백화점으로부터 받게 되는 배당 수입 등으로 재무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존에 계획한 주주환원정책 외에 배당 확대 등 지속적으로 주주들의 권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현대리바트, 업계 최초 ‘3년 무상A/S’ 도입
- “유통업계에 부는 친환경 바람”…소비자 가치 수요 확산
- 서경배 회장 “세계시장 도전해 함께 성장하자” 당부
- CJ ENM, 뉴욕 럭셔리 패션 ‘바니스 뉴욕’ 국내사업 전개
- 유통가, 선물부터 여행상품까지 불붙은 추석마케팅
- 이랜드몰, 7주년 기념 ‘럭키 페스티벌’
- 현대百그룹, 중소협력사 결제대금 3천억 조기 지급
- 한섬, MZ고객 접점 확대 성수동에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 아미, 국내 첫 면세점 매장 오픈
- 애경산업 임원진 자사주 매입…책임경영 강화
- 한섬, ‘자원순환의 날’ 맞아 친환경 레더 슈즈 출시
- "지금은 고함량이 대세"…프리미엄 앞세운 건기식 경쟁
- 지씨씨엘, 업계 최초 글로벌 실험실 정보 관리시스템 도입
- 신송식품, 한가위 맞아 알찬 선물세트 출시
- 한국P&G, 네이버와 ‘지구를 위한 P&G 브랜드 위크’ 진행
- 코웨이, ‘IDEA 디자인 어워드’서 디자인 역량 인정
- 정관장, 특화 브랜드 ‘장수:율'로 시니어시장 본격 공략
- 아모레퍼시픽, ‘세계화장품학회’ 참가…혁신 연구사례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