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리아팀 컨소시엄 구성…공급망 변화 공동 대응 등

[이지경제=이승렬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 안현호)이 세아창원특수강과 함께 항공기용 소재 국산화를 추진한다.
KAI는 이를 위해 세아창원특수강과 위드코리아팀(With Korea Team)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알루미늄, 타이타늄 등 항공기용 압출, 단조소재 부품 국산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최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위드코리아팀에는 KAI와 세아창원특수강, 세아항공방산소재 등 9사가 참여한다.
그동안 전량 수입한 알루미늄 압출재를 국산화할 경우 공급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일 수 있어, 최근 유럽과 미국 등 주요국이 요구하는 탄소 중립 조건도 충족할 수 있다는 게 KAI 설명이다.
KAI는 항공기용 소재 국산화에 성공할 경우 공급 안정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생산 일정을 단축해 운송비를 절감하는 등 경쟁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KAI는 2019년 항공소재개발연합을 만들고, 첨단 항공소재 국산화를 추진해 군수품뿐만이 아니라 민항기 기체 부품도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알루미늄 압출재와 타이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20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종 등의 국산화도 마쳤다.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은 “KAI가 급변하는 공급망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추진했다. 국내 항공용 소재 시장은 연간 1조1200억원 규모”라며 “소재부품 국산화를 확대해 수주 경쟁력을 크게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KAI는 중형기, 제트기 등에 대해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와 협업을 강화해 2030년까지 민수기체사업 매출 2조원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 KAI, 수리온 타고 다시 난다…제한형식증명 획득
- [이지경제 기획] 장용익 서울산림항공관리소장 “KAI 헬기 수리온, 한국 숲 지킴이”
- KAI, 국산완제기 신시장 본격 개척…NATO·EU 정조준
- KAI, 동해안 산불 등 조기 진화 실현…산림헬기 선봬
- KAI, 세계 하늘·우주길 넓힌다
- [인터뷰] 강용석 KAI 정보보안실 상무 “기술과 만난 보안은 편하죠”
- [이지경제 기획] KAI “국내 10위 안에 드는 보안수준 갖출 터”
- 안현호 KAI 사장, ESG 경영 강화…ESG委 마련
- KAI, 해외서 광폭 행보 지속
- [이지경제 기획] KAI 소형무장헬기 ‘LAH’ 우크라이나 상공 날까?
- 막걸리 판매 호조…판매처 늘리고 마케팅 강화한다
- ‘환경의 날’ 친환경 성과공유하고 동참 캠페인 이어져
- KAI, 40개 협력사와 완벽 품질 구현
- 韓 T-50, 美 하늘 수놓는다…KAI, 록히드마틴과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