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화학소재 전문기업에 5천200톤 규모 공급 시작…韓최대 수출 계약
폐식용유 등 활용한 친환경 제품 출시 지속 확대…신규 고객 확보 박차
[이지경제=이승렬 기자] LG화학이 바이오 원료를 적용한 친환경 인증 제품으로 지속가능 소재 시장 공략에 나섰다.
LG화학은 폐식용유 등 바이오 원료를 활용해 생산한 페놀과 아세톤을 처음 수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제품들은 글로벌 지속가능 소재 인증인 ‘ISCC PLUS’를 획득했다.

LG화학이 이번에 수출하는 물량은 페놀 4000톤(t), 아세톤 1200톤 등 총 5200톤에 달한다.
이 물량은 7~8월 고객사에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국내에서 수출된 ISCC PLUS 인증 제품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페놀은 차량용 부품을 만드는 고기능성 플라스틱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초기 원료다. 페놀로 생산된 수지는 전기전자 부품 및 단열재 등의 건설자재 원료로도 일부 사용된다.
아세톤은 용해성이 뛰어나 주로 세정제, 페인트 희석제 등의 솔벤트 생산에 사용된다. 인조 대리석 등 건축자재 원료로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된다.
LG화학 대산공장에서 출하되는 바이오 원료 적용 페놀과 아세톤은 독일 화학소재 전문기업의 중국 및 태국 공장으로 납품돼 폴리카보네이트 등 고기능성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될 예정이다.
LG화학은 지난해 8월 바이오 원료를 적용한 SAP(고흡수성수지)의 첫 수출을 시작으로 PO(폴리올레핀), ABS(고부가합성수지), PVC(폴리염화비닐), NPG(네오펜틸글리콜) 등 페놀과 아세톤을 포함해 ISCC PLUS 인증을 받은 총 41개의 제품 출시 및 신규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적인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트렌드에 발맞춰 지속가능한 친환경 제품 생산을 희망하는 고객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LG화학은 향후 유럽,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ISCC PLUS 인증을 받은 친환경 제품 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국래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고객의 니즈에 맞춘 친환경 인증 제품으로 지속가능 소재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폐페트병이 스니커즈·방진복으로
- LGU+, 지속가능경영보고서…‘ESG 지향점’ 반영
- CJ제일제당 신성장동력 ‘식물성 식품’…2025년 매출 2천억원 목표
- LG화학, 최고 현장 전문가 ‘LG화학 명장’ 신설
- LG·SK, 폐기물 자원화 시장 선도 동력 확보
- 현대제철, 디지털 기반 통합보고서 ‘비욘드스틸’ 발간
- 효성티앤씨, 친환경·스마트섬유 스타트업 육성에 팔걷어
- SKT, 코어망 고도화로 6G 진화 기반 확보
- 진로 소주,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증류주
- 산업부,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가속화 지원
- ‘반도체 초강대국’ 인프라 지원, 규제특례 적용한다
- [오늘의 금융家] 금융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지원 강화협력 등
- LG엔솔, 美 포드에 배터리 공급 늘린다
- SK온, 포드 등과 양극재 생산시설 공동투자…북미 공략 박차
- 물리적 재생원료, 식품용 기구로 사용 가능
- LG엔솔, 中화유코발트와 ‘배터리 재활용’ 합작사 설립
- SK루브, ‘저점도 엔진오일 온실가스 감축 효과’ 환경부 공식 인정
- 금호석화, 미래 사업 기회 발굴에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