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농어촌공사, 해외서 스마트팜 사업 추진
해외 인프라 노하우에 한국 스마트팜 기술력 접목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한국의 농림축수산물의 생산 및 가공, 유통 단계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 활용하는 스마트팜 사업이 해외에서 본격 추진된다.

현대건설은 서울 종로구 계동에 위치한 현대건설 본사에서 20일 한국농어촌공사와 ‘스마트 농업 기반 조성 및 해외진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팜(Smart farm)은 농림축수산물의 생산 및 가공, 유통 단계에서 ICT를 접목한 기능화 농업 시스템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의 ICT를 통해 농작물, 가축 및 수산물 등의 생육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하고 PC나 스마트폰 등으로 원격 자동 관리할 수 있어 생산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번 협약에는 ▲해외 농업 생산기지 인프라 조성사업 ▲스마트시티 사업과 연계한 한국형 스마트팜 해외 진출 ▲친환경 스마트팜 공동연구 추진 등 차세대 농업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 내용이 담겼다.

양사는 금번 협약을 통해 해외 농업 생산기지 인프라 조성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현대건설은 중동 및 동남아 지역의 풍부한 프로젝트 수행 경험으로 축적한 관개수로, 저수지, 에너지, 해수담수화 등 인프라 개발 사업 노하우를 공유하고 한국농어촌공사는 국가 농업 생산을 기반으로 구축한 민·관 해외 농업 투자플랫폼을 통해 협력할 예정이다.
또 현대건설이 현재 추진 중인 해외 스마트시티 개발사업에 한국농어촌공사가 보유한 스마트팜 기술력과 네트워크를 연계해 K-스마트팜(한국형 지능형농장)사업을 특화시키며 다양한 국가로의 해외 진출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친환경 농업 에너지 공급 등 차세대 스마트팜 연구도 함께 추진한다. 연료전지의 전기, 열, 이산화탄소를 농업에 활용하는 친환경 스마트팜 분야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실제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은 “심각한 기후 위기로 생태계는 물론 안심 먹거리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현대건설은 한국농어촌공사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미래 식량주권과 농업 경쟁력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민관 협력을 통해 미래 농어업 기술 교류와 사업 다변화를 도모하고, 스마트 농업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제2의 ‘오징어게임’, ‘우영우’ 제작 지원
- [오늘의 금융家] IBK기업, 최고 6% ‘IBK부모급여우대적금’ 출시 外
- 중동의 K방산 붐, UAE 방산전시회서 한국 방위산업 홍보
- ‘고물가’ 해산물·채식까지 간편식 품종·판매 늘렸다
- ‘성과급 잔치’ 은행권에 들이미는 매스, 그 효용은?
- 토종 ‘치킨’ 브랜드, 세계 속으로
- 11번가, ‘구글 브랜드관’ 오픈…28일까지 프로모션
- 고물가속 한우·한돈 농가-소비자 상생
- 대기업 프로젝트에 스타트업 참여 늘린다
- 네이버페이, 삼성페이로 오프라인서 결제한다
- 삼성전자, 암바렐라와 맞손...자율주행 차량용 5나노 반도체 생산
- 강한 소상공인 성장지원에 최대 1억원...3월6일부터 접수
- 신규확진 1만3천082명…위중증 7개월새 최소
- LG에너지솔루션, ‘튀르키예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 M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