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김치 중국어 표기 ‘신치(辛奇)’로 명시
[이지경제=정윤서 기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국내 관광지 식당에서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하는 것에 대해 “중국에 빌미를 제공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17일 서경덕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누리꾼의 다양한 제보를 받았다며 “중국의 김치공정 상황에서 중국의 왜곡에 맞서 적극적인 대응도 중요하지만 국내에서 잘못 사용되고 있는 김치 표기 역시 다함께 바로 잡아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국내 주요 관광지 주변 식당들의 메뉴판에는 보통 한국어로 메뉴를 먼저 소개한 뒤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으로 번역을 해 놓는다”면서 “김치찌개나 김치만두 등 김치가 주재료로 사용되는 음식을 아직도 ‘파오차이’로 번역하는 곳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는 ‘김치공정’을 꾸준히 펼쳐 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환구시보의 김치 도발 기사,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의 김치 왜곡 등 지속적인 ‘김치공정’을 자행했다.
2021년 11월에는 파오차이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표준인증을 받은 뒤 중국의 문화공정은 더 심해지고 있다. 중국 쓰촨성(사천성)의 채소절임을 가리키는 파오차이는 일종의 절임(피클) 음식이다. 중국은 김치의 기원이 파오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2021년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일부 개정하고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했다.
서 교수는 “해외관광객들이 한국으로 대거 몰려오고 있어 한식을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을 맞았다”며 “우리 식당들이 김치 표기가 잘 돼 있는지 살펴보고 손님들도 잘못된 표기가 있으면 식당 측에 시정을 요청하는 등 다함께 관심을 갖고 김치의 올바른 표기를 위해 힘을 모아야만 할 때”라고 당부했다.
- 화장품도 패션도 ‘비건’ 열풍
- 유럽 바이어 몰린 ’파리 K-프로덕트 프리미엄 소비재전’
- [5월 3주 주요 항공 소식] 홍콩공항,항공권 증정 캠페인 서울 론칭 행사 外
- “암환자·당뇨환자 영양식도 맛있고 건강하게”
- 오리온, 1분기 매출 6천638억·영업익 991억
- ‘영토확장’ 나선 CJ제일제당, 이번엔 길거리 음식
- 고궁에서 만나는 K-전통 문화ㆍ상품
- CJ제일제당, 호주서 ‘신영토 확장’ 가속… 최대 유통 채널 입점
- 생산부터 충전소 화재 관리까지...확대하는 ‘전기차’ 인프라
- 대우조선해양, 1분기 매출 1조4천398억원 전년동기比 15.6%↑
- 빠른 성장 로봇산업…일상 곳곳 활약 늘어
- 중견기업 새내기가 알아야할 지원정책은?
- 소상공인을 생활속 혁신기업가로 키운다
- [오늘의 금융상품] 연 5.5% 우리은행 고금리 적금 출시
- EU기업 제휴 1~2년내 서둘러야...“배터리 산업 판도 좌우”
- 28일까지 ‘동행축제’…온라인쇼핑몰·홈쇼핑, 다양한 이벤트 마련
- 글로벌 K-식품 인기…라면 3사, 1분기 매출 두자릿수 성장
- 신규확진 2만1천797명…전일比 4천300여명 ↓
- 치킨 3사 마케팅 강화…K-관광상품에 ‘내가 만든 치킨’이?
- 코로나19 신규확진 1만9천586명…1주 전比 400여명 감소
- hy, 화재취약한 고령 농가에 소화기 기부
- 韓기업들, 친환경 경영행보에 ‘앞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