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 활용한 대규모 수소생산 신기술 실증 MOU 체결
하루 216KG 청정수소 생산시스템 구축, 넥쏘 34대 충전가능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면서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기술개발사업이 진행된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수소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에 나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29일 서울시 현대건설 사옥에서 현대차·기아, 현대건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매립지공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친환경 수소생산 공동 기술 개발 및 사업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향후 2년간 매립지공사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매일 216kg 규모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 실증이 목표다. 이는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넥쏘를 34대 이상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바이오가스는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돼 생성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기체 혼합물이다.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처리하면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바이오가스가 생성된다. 이를 정제와 개질 과정 등을 거쳐 고순도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최근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이처럼 폐자원을 활용해 친환경 에너지원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촉매 반응 공정을 위한 통합 시스템 구축을, 현대건설은 수소 생산 과정에서의 가스 선택 분리 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매립지공사는 바이오가스 전처리 기술을 연구하고 수소 생산 원료인 바이오가스를 비롯해 연구 부지 및 설비 시설을 제공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친환경 수소 생산 역량을 도모하는 동시에 재생합성연료(e-fuel) 생산 기술도 함께 연구할 계획이다. 수소 생산 과정에서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재생합성연료를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하는 기술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또 청정수소와 일산화탄소를 합성,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를 만들어 활용하는 기술도 개발해 궁극적인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한걸음 더 다가선다는 계획이다.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상무는 “이번 협약을 통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자원순환형 에너지 기술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실증하고자 한다”면서 “향후 재생합성연료와 친환경 플라스틱 내장재 생산 같은 고부가가치 기술로 발전시켜 글로벌 탄소중립 리더로서 업계를 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도널드 모리스 캐세이퍼시픽 신임 한국지사장 선임
- 來13일 글로벌 수소 전문가 'H2 MEET' 총출동
- 넥센‧한국타이어, 글로벌 디자인어워드서 연이어 본상
- [2024 예산] 산업부, 원전생태계 복원 등 내년 예산 11.2조원
- 현대ENG, 플랜트·건설 특화 대화형 AI 개발
- LG유플러스 '아이들나라', 키즈 대상 오프라인 교육시장 진출
- 대우건설, 부동산 신탁社와 협업...신사업 개척 발굴 추진
- [2024 예산] 중기부, 내년 예산안 7.3% 증가한 14.5조원
- 디지털정부 최상위 통합플랫폼 상세설계 착수
- SKIET, 전 사업장 정보보호 국제인증 ISO27001 획득
- 9월 전세계 정보통신기술 리더 1000여명 서울 집결
- LG유플러스, ‘환승구독’ 월정액 하나로 콘텐츠 다 본다
- SKT, 도심항공교통 시대 대비…'상공망 기술' 개발 속도
- 현대차그룹-고려아연, 배터리 핵심소재 사업 포괄적 협력
- "항저우 아시안게임 출전 국가대표를 응원합니다"
- 반도체 공급망 재편 시나리오 현실화…한국의 선택은?
- 엄태웅 삼양홀딩스 대표 ‘1회용품 제로 챌린지’ 동참
- 대한항공 항공화물, 친환경연료 사용 확대 협력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