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오늘밤 미국 관계자와 화상 실무협의 개최
한국자동차협회, 미국자동차협회 만나 협조 요청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국내 자동차산업에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방법을 찾고 있지만 출구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 

기아가 출시한 전기차 EV6. 사진=기아
기아가 출시한 전기차 EV6. 사진=기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16일 21시, 미국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전기차 세액공제 관련 실무협의를 화상으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달 9일 한미통상장관회의에서 합의한 IRA 협력채널 구축의 후속 조치다.

우리측에서 산업부 윤창현 통상정책국장을 비롯하여 산업부·기재부·외교부 등 관계부처가 참석하며, 미측에서는 USTR 대표보급을 비롯하여, USTR·백악관(NSC/NEC)·상무부·재무부·국무부·에너지부 등 관계부처가 참석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과의 화상 실무협의에 앞서 16일 오전 정대진 통상차관보 주재로 현대차ㆍ삼성SDIㆍLG에너지솔루션ㆍSK온ㆍ한국자동차산업협회ㆍ한국전지산업협회 등과 함께 미국 전기차 세액공제 제2차 민관합동 T/F를 열고 향후 방안을 논의했다.

한편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IRA와 관련해 8월 입장문을 낸 데 이어 이달 13일에는 워싱턴에서 미국자동차협회와 만나 협조를 요청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협회 회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은 미국과 USMCA와 효력이 유사한 FTA를 체결한 국가이므로 내국인 대우 원칙상 한국산은 미국산과 동등한 취급을 받아야 하는 점, ▲한국 정부는 미국산 포함 수입산과 한국산 간 차별없이 이미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지급중이고 미국산이 이 과정에서 큰 혜택을 보고 있다는 점, ▲현대와 기아차 등 한국업체들이 대규모 대미 투자로 미국의 생산과 고용창출에 기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전기차 포함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점 등을 감안하여 한국산 전기차도 미국산과 동등하게 세제혜택을 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이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