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생산·수입명령, 약가 인상 등 추진…원료 수입 상황 특이동향 없음
[이지경제=김진이 기자] 일부 해열진통제 품절 사태에 따라 정부가 모니터링 강화 등 감기약의 안정적인 공급에 발 뻗고 나섰다.
중국의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해열진통제 생산원료 수급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는 가운데 아직은 중국의 원료 수출 제한 등과 같이 우려할 만한 사항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정부는 22일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해 해열진통제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을 사전에 대비하고자 이달 1일 해열진통제에 대한 약가 인상과 긴급 생산·수입 명령 조치를 취하는 등 생산·공급량 확대에 나섰다.
특히 식약처는 제약사들이 감기약 생산에 필요한 원료를 이미 확보했으며, 원료 수급에도 최근까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제조·수입사는 정부가 요청한 해열진통제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계획을 제출했으며, 현재 계획에 따라 생산·수입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다만 해열진통제가 생산·수입에 필요한 공정·절차와 유통과정을 거쳐 약국으로 배송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돼 현장에서는 생산·수입 단계 공급량 증대 효과를 체감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제약사들은 아세트아미노펜을 비롯한 감기약 생산에 필요한 일정량의 원료를 확보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원료 수입은 최근까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약처 관계자는 “국내 감기약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제조사들은 원료 수입국을 다변화하는 등 선제적 조치를 마련하고 있으며, 식약처는 이에 대해 신속·적극적으로 행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약국가에 따르면 품절이 이어지고 있는 약제는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제제(650㎎) 고형제 품목을 비롯한 일부 품목이다.
- 신규확진 7만5천744명…증가세 지속
- 식약처, 불고기·갈비 ‘밀키트’ 193개 업체 점검…4곳 행정처분
- 신규확진 8만8천172명…98일만에 최다, 1주전比 3천600여명↑
- 송영숙 한미약품 회장, ‘자랑스러운 한미인’ 2명에 골드바 수여
- 현대차, 미국에 1천500만대 팔았다
- 신규확진 6만8천168명…1주전比 1천215명↑
- ‘한국형 AI 풀스택’, 내년 글로벌 무대 데뷔
- 파리바게뜨, ‘위싱트리’ 크리스마스 케이크 출시
- “2023년, 11번가 2.0의 원년…경쟁력 강화와 시장 생존에 집중”
- CJ ENM, 브랜드 사업 전문 자회사 ‘브랜드웍스 코리아’ 설립
- 일요일 2만5천545명 확진… 전주比 1천여명 ↓
- hyㆍGS25, 이찬원 편스토랑 4차 우승 메뉴 출시
- 신규확진 8만7천596명…1주 전과 비슷
- [2023 정부 예산④] 식약처, 내년 6천765억원 투입…안심 먹거리‧바이오헬스 ‘집중’
- 신규확진 완만한 증가세…27일 8만7천517명
- 신규확진 6만5천207명…1주전比 2천900여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