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127억7천만불, 수입 104억4천만불
역대 4월 최고실적 작년보다 35.9% 감소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4월 정보통신산업이 수출과 수입 모두 대폭 감소한 가운데 무역수지는 23억3천만불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은 ’23년 4월 정보통신산업(이하 ‘ICT’) 수출은 127억7000만불, 수입은 104억4천만불, 무역수지는 23억3천만불 흑자를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ICT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ICT 수요 회복 지연, 반도체 업황 부진, 역대 4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한 전년 동월(199.3억불)의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9%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40.5%↓), 디스플레이(30.5%↓), 휴대폰(41.6%↓), 컴퓨터·주변기기(66.7%↓), 통신장비(14.7%↓)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9.0%↓), 베트남(26.7%↓), 미국(40.1%↓), 유럽연합(36.8%↓), 일본(25.1%↓) 등이 감소했다.
64억8천만불 수출로 전년동월대비 40.5% 감소한 반도체는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ICT 기기 수요약화와 메모리 단가하락으로 인해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디스플레이는 전방기기 수요둔화중인 OLED와 국내생산이 축소된 LCD 등의 영향으로 14억3천만불, 30.5%감소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포함)으로의 수출이 51억불로 전년대비 39% 감소를 기록했다. 반도체(36.0억불, 37.6%↓), 디스플레이(4.6억불, 50.2%↓), 휴대폰(2.9억불, 46.5%↓) 등 주요 품목에서 모두 큰폭으로 감소했다. 이외에 베트남(22억불, 26.7%↓), 미국( 16억불, 40.1%↓), 유럽연합(8억53천만불, 36.8%↓), 일본(2억8천만불, 25.1%↓)도 대부분 품목의 수출액이 큰 폭 하락했다.
ICT 수입액(104억4천만불)은 전년 동월(121.4억불) 대비 14.0%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48억1천만불, 15.7%↓), 컴퓨터·주변기기(10억5천만불, 28.3%↓), 휴대폰(5억2천만2억불, 25.9%↓), 디스플레이(3억3천만불, 26.4%↓) 등이 모두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8억2천만불, 27.7%↓), 대만(14억8천만불, 21.6%↓), 베트남(8억3천만불, 23.8%↓), 일본(9억2천만불, 7.4%↓), 미국(6억3천만불, 10.2%↓) 등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KT·삼성물산, 국내외 헬스케어 본격 진출
- 신한금융 ‘RE100’ 가입…2040년 재생에너지 100%
- LG전자, 국내 곳곳 ‘브랜드 리인벤트’ 본격 시동
- 6조원 반려동물 시장 선점 나선 유통제약家
- 화장품업계, Z세대 ‘성년의 날’ 선물 추천
- 패션업계 여름맞이 분주… ‘냉감‘ 소재 열전 돌입
- 삼성전자, 업계 최초 ‘CXL 2.0 D램’ 개발
- HD현대, 선박용 사이버 보안기술 개발 기본인증 획득
- ESG 행보 박차 가하는 ‘건설·설비업계’
- 바다숲 조성에 박차…현대차·효성 블루카본사업 협력
- 인천항 지능형 공동물류센터 착공
- 소비자 만족도 최고 코웨이, 3관왕 수상 프로모션
- 국내 도로 노후화 심각...사회적 손실 비용 증가
- 삼성×한국은행, 중앙은행디지털화폐 기술연구 협력
- 건설업계, 스마트화…“새 비즈니스 모델 창출 필요”
- [오늘의 금융家] 직장인‧MZ‧미성년 맞춤 금융 이벤트 外
- 해수부 “미래 해양 신산업 핵심인재 양성 박차”
- SKT‧하나금융그룹, 데이터 결합 신사업 추진한다
- SK스퀘어, 1분기 매출 감소…포트폴리오 회사 부진 영향
- SK하이닉스 자회사 솔리다임, 신규 각자대표이사 선임
- 세계 순환경제 영향력 확대하는 韓기업들
- 삼성전자, 업계 최선단 12나노급 D램 양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