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조원 규모 유상증자 참여…지분 49% 확보 후 인수 마무리
지속가능한 해양에너지 생태계 개척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 목표
[이지경제=이승렬 기자]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최종 관문을 통과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7일 한화-대우조선 기업결합 건 심사에 대해 조건부 승인을 결정했다.

한화는 “조건부 승인에 따른 경영상의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영실적이 악화되어 있는 대우조선의 조속한 경영정상화와 기간산업 육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당국의 결정을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화그룹은 5월 중 대우조선 유상증자에 참여해 주주총회를 통한 이사 선임 절차 등을 거쳐 신속히 인수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로써 대우조선은 2001년 워크아웃 이후 22년만에 경영정상화의 닻을 올리게 됐다.
5월 중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 자회사 2곳 등 한화그룹 5개사는 2조원 규모의 대우조선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대우조선 지분 49.3%를 확보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한화는 그룹의 핵심역량과 대우조선이 보유한 글로벌 수준의 설계·생산 능력을 결합해 대우조선의 조기 경영정상화는 물론 지속가능한 해양 에너지 생태계를 개척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으로 성장시킨다는 전략이다.
또한, 단순한 이익창출을 넘어 일자리 창출, K-방산 수출 확대 등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일조할 계획이다. 특히 조선업의 장기간 업황 부진으로 침체된 거제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발전에도 큰 활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래픽] 대우조선해양 지분 변화. 자료=한화그룹](https://cdn.ezyeconomy.com/news/photo/202304/123072_76753_4321.jpg)
대우조선 경영 상황은 작년 9월 인수 양해각서(MOU) 체결 후에도 계속 악화돼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수혈이 긴급한 상황이다. 최근 2년간 적자규모는 3조4000억원에 달하고, 부채비율은 1600%에 이르고 있다.
턴어라운드를 기대했던 올해 1분기, 대형 조선 3사 중 유일하게 계획 대비 대규모 손실이 예상된다. 2020년 4분기 이후 10분기 연속 적자다.
공격적인 수주전 또한 펼치지 못하고 있다. 조선업 사이클 상승기임에도 수주실적은 전년 1분기 42억달러에서 올해 8억달러로 급감했다. 경쟁사 대비 초라한 성적표다.
핵심 인력 유출 및 인력난도 심각한 상황이다. 작년 한 해 160명이 넘는 직원들이 경쟁 회사로 옮겼다. 특히, 실무 업무의 주축인 대리 및 과장급과 특수선 설계 인력의 유출이 문제다. 10년 전 1만3000명에 이르렀던 대우조선 임직원 수는 지난해 말 8300명으로 5000명 가량 줄었다.
한편, 한화는 대우조선 인수를 계기로 기존 우주, 지상 방산에 더해 해양까지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명실상부한 글로벌 방산기업으로의 성장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
기후위기와 에너지 안보에 대한 이슈로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이 빨라지는 시점에서 대우조선의 조선, 해양 기술을 통해 ‘글로벌 그린에너지 메이저’ 위치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 에너지업계, SMR 글로벌 시장 진입 총력
- ‘탈탄소’ 앞장선 기업들…대체 에너지 사업 확대
-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이후 5분기 연속 매출 성장세 지속
- 현대엔지니어링, 현대百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 공급
- SK온·효성·대우조선해양, 공통 키워드 …‘소통·후원·개발’
- HD현대重, 한화 대우조선해양 인수 발목 잡나?
- 한화, 대우조선해양과 기업결합 ‘마지막 퍼즐’ 맞춰지나?
- 선박시장 점유율 37%…고부가·친환경 선박 58% 수주
- [오늘의 금융 상품] 청년 특화 목돈마련 상품 外
- SKT, 골프존과 ‘맞손’ 골프대회에 AI 기술 입힌다
- ‘과학은 무한대’...가족과 함께 ‘과학 나들이 오세요’
- 건설·플랜트업계, 대형 프로젝트 수주로 1분기 실적 ‘UP’
- 그린수소, 바다・호수에서 대량 생산한다
- 해외 신흥시장 확대에 국내 건설기계 시장 ‘방긋’
- 항공사가 알려주는 항공여행 수하물 규정 팁
- DL이앤씨, ‘e편한세상 동탄 파크아너스’ 분양
- 봄 맞이 ‘욕실 인테리어’ 뭐가 좋을까?
- 14개월째 연속 무역적자…4월 수출 전년比 1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