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MW 해상풍력발전시스템, 독일 ‘DEWI-OCC’ 국제형식인증
풍속느린 서남해 맞춤형…로터직경 늘려 이용률 30% 이상
[이지경제=이승렬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8MW 해상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해 국제 인증기관으로부터 국제 형식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최초로 8MW 해상풍력발전시스템(모델명 DS205-8MW)에 대해 국제 인증기관인 독일의 ‘DEWI-OCC(데비오씨씨)’로부터 국제 형식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고 12일 밝혔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취득한 국제 인증은 설계평가·제조평가·형식시험으로 구분된 각각의 항목을 모두 충족해야 취득 가능하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8년부터 ‘8MW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개발’을 추진해왔고, 올해 1월 전남 영광에 시제품을 설치하고 실증운전을 거쳐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
국내 설치 기준 최대 용량인 ‘DS205-8MW’는 해상풍력이 발달한 유럽 국가들 대비 풍속이 느린 우리나라 서남해의 환경에 맞춤형으로 설계됐다. 평균 풍속 6.5m/s에서도 이용률 30% 이상이 가능할 수 있도록 로터 직경을 205m(블레이드 길이 100m)까지 늘렸다.

로터 직경은 블레이드 끝이 그리는 원의 지름이며, 직경이 길어지면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해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블레이드 길이가 2배로 늘어나면 바람을 받는 면적은 4배로 증가한다.
100m 길이의 블레이드는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재료연구원, 블레이드 제조사인 휴먼컴퍼지트가 협력해 개발했다. 국제공인 시험기관인 부안 풍력시험동에서 설계수명 25년에 대한 반복 피로 하중 시험과 태풍과 같이 극한 상황의 하중 시험을 통과하는 등 블레이드의 구조 건전성과 안전성을 확보했다.
박홍욱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 BG장은 “전세계 풍력 기업들이 경쟁하는 우리나라 해상풍력시장에서 국내 산학연이 함께 개발한 8MW 해상풍력 터빈으로 시장 확대에 나설 것”이라며 “현재 70% 이상인 터빈 부품 국산화율을 더욱 높이고, 해외에 의존하던 터빈 유지보수 서비스를 국내 기술과 인력으로 대체해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5년부터 해상풍력 사업을 시작한 두산에너빌리티는 현재 3.3MW, 5.5MW, 8MW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5.5MW급 생산을 위한 풍력2공장 구축, 8MW 생산 공장 조성 준비, 풍력 조직 확대 개편, 차세대 초대형 모델 개발도 계획하는 등 해상풍력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 국제금융시장 투자심리 회복되나
- 미래 인재 지원에 ‘한뜻’ 모았다
- 국내 유일 배터리전시회 ‘인터배터리’, 내년 유럽 진출
- 월간십일절·브랜드데이·위켄드 마켓…최적의 온라인쇼핑 이벤트는?
- [오늘의 금융家] 신한은행, ‘기업혁신대상’ 대통령상 수상 外
- 약사법 위반 사실 공표 내용‧방법 등 구체화
- “우크라이나 사태·코로나 종식되면 내년 무역흑자 285억달러”
- 동네마트 장보기도 온라인으로 한다
- SPC, 외부 전문기관 안전진단 완료…“개선 동시 진행, 90% 조치”
- 獨금속산업전시회 ‘G/M/T/N 2023’, ‘친환경’에 초점 맞춘다
- 지급 기한 한 달 남은 ‘로또 1등 당첨금 20억원’ 주인 어디에?
- 한국앤컴퍼니그룹 임원 인사, 서정호·박종호 부사장 승진
- 올해 韓수출액 기존 최고치 경신…향후 전망은 ‘먹구름’
- 다시 올라선 건설기계산업...올해 생산 11.2조원, 수출 71억달러
- 은행서비스의 ‘혁신’…무신사·KT플라자 입점
- 국내 선도기업 DJSI 월드 지수 편입…ESG 경영 성과 인정
- ‘아이오닉 5’, 12년만에 재진출 일본서 ‘올해의 수입차’
- 방치됐던 경동극장, 복합문화공간으로 '변신'
- K-콘텐츠 인기에 전 세계 수출 성과도 ‘호실적’
- 현대차, 아파트·호텔서 자율주행 배송로봇 실증사업
- LG엔솔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美 에너지부 정책자금 25억달러 확보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독자개발 ‘K2 전차용’ 엔진 공급계약
- SK이노-성일하이텍, 폐배터리 금속 재활용 합작법인 설립…시장 선점 나서
- 두산그룹, 튀르키예에 100만달러 상당 건설장비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