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욕 중심에 ‘게이밍허브 체험관’ 오픈
별도기기연결없이 100개 X박스 게임 플레이
[이지경제=윤현옥 기자] “초화질 게이밍모니터로 100여개 엑스박스 게임을 마음껏.”
삼성전자가 MS와 함께 런던, 뉴욕 중심가에 게이밍 허브 체험공간을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이하 MS)와 함께 손잡고 런던과 뉴욕 중심가에서 ‘게이밍 허브’를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을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런던과 뉴욕에 위치한 ‘마이크로소프트 체험 센터(MEC)’에 삼성 스마트TV와 게이밍모니터를 설치해 현지 유저들에게 게이밍허브를 통한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이 달 18일에 오픈한 런던 MEC의 게이밍 허브 체험존에는 98형 Neo QLED 4K 를 비롯해 오디세이 아크·오디세이 G3 등 게이밍 모니터를 설치해 차원이 다른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다.
이곳에는 98형 Neo QLED 4K(QN90A) 3대, 55형 Neo QLED 4K(QN95B) 6대, 24형 오디세이 G3(G32A) 12대가 설치돼 있다. 5월중에 오디세이 아크(Odyssey Ark) 2대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방문객들은 엑스박스의 글로벌 기대작 ‘마인크래프트 레전드’를 비롯해 ▲오랜 시간 사랑 받은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 장르의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에픽게임즈의 인기 슈팅게임 ‘포트나이트’ ▲리듬 액션 게임 ‘하이-파이 러쉬’ 등 다채로운 엑스박스의 추천 타이틀을 플레이해볼 수 있다.
24일 문을 연 뉴욕 MEC의 게이밍허브 체험존에는 85형 ‘Neo QLED 8K TV’, 55형 ‘Neo QLED 4K TV’와 27형 삼성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G5’가 설치됐다.

컨트롤러만 있으면 별도의 콘솔 기기나 다운로드 없이도 초고화질의 Neo QLED TV와 오디세이 게이밍 모니터를 통해 원하는 게임을 취향껏 즐길 수 있다.
삼성 스마트 TV와 모니터 사용자들은 별도의 기기 연결이 없이도 삼성 ‘게이밍 허브’를 통해 ‘엑스박스 게임 패스’를 구독, 100여개의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TV 업계에서 ‘엑스박스 앱’을 제공하는 것은 삼성전자가 최초다.

한상숙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오프라인 체험존을 통해 삼성 게이밍 허브만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게이밍 허브는 삼성 스크린 경험의 진화를 보여주는 서비스로,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십과 기술 혁신을 통해 전 세계 게이머들이 애용하는 게임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 차세대 배터리 고도화에 대규모 투자 이어진다
- “진정한 친환경, 제품 전과정 살펴야 가능”
- [오늘의 금융家] 세제혜택 커진 ‘연금’ 경쟁
- K-디자인, 세계시장서 ‘인정’…‘iF 디자인 어워드’서 잇딴 수상
- 오리스, 탄소섬유 복합체 케이스 탑재 ‘오리스 프로파일럿 얼티미터’ 출시
- ‘골칫거리’ 플라스틱…새활용ㆍ재활용 늘린다
- 티웨이항공, 분기 최대실적 달성...흑자전환 ‘활짝’
- 현대건설 1분기 매출 6조311억원…전년比 45% 상승
- SKT‘아이♥ZEM’· KT ‘Y틴 프리덤’…연령별 맞춤형 프로모션
- 현대차그룹 ‘레드닷·카디자인’서 부문별 5개 수상
- SK온, 차세대배터리 등 국내 R&D 투자 확대
- 조선업계, 수송·포집·설계 통해 선박 탄소 배출 줄인다
- 전세사기 ‘종합금융지원센터’ 첫날 상담 몰려
- 가성비 에어컨 급증…기능·효율↑ 에너지·가격↓
- 현대차그룹 “변화와 혁신으로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
- ‘어린이날’ 선물 정하셨나요?…유통家, 완구 특별전
- 현대차, 1분기 영업익 3조6천억원…전년比 86% 상승
- 렌탈업계, 차별화된 기술력·서비스로 ‘눈길’
- 포스코, “이노빌트 제품 통해 해외건설 프로젝트 적극 수주”
- 포스코-삼성전자, 글로벌 협력 강화한다
- [바이오제약, 오늘] 셀트리온, CT-P39 유럽 품목허가 신청 外
- 와인, 케이크, 용돈박스…당신의 ‘가정의 달’ 선물은?
- 진로ㆍ김혜자도시락…잘팔리는 상품의 ‘비밀’
- [이지적 전시회 탐방] IT의 모든 것, 월드IT쇼
- 단백질 음료 ‘전성시대’…비건 제품도 출시
- 식유통家, ‘패션’으로 매력 발산
- 1분기 실적 ‘희비’ 갈린 삼성·LG
- LG유플러스, 디도스 장애 ‘종합 피해보상안’ 발표
- 삼성전자, 업계 최초 ‘CXL 2.0 D램’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