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푸드 매출 론칭 후 매분기 20%씩 신장…엔데믹에도 고객 재구매율 60% 넘어
병원 환자식 노하우·다양한 식재료 활용 주효…“내년까지 메디푸드 100여종 확대”

[이지경제=김진이 기자] 현대그린푸드의 ‘메디푸드(특수의료용도식품) 사업’이 안착하고 있다.
메디푸드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질환별 영양 요구 특성에 맞게 영양성분 함량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가공해 환자의 식사 관리 편의를 제공하는 식사 대체 목적의 일반식품이다.
6일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는 케어푸드 전문 브랜드 ‘그리팅’의 메디푸드 매출이 작년 4월 출시 이후 매분기 20% 이상씩 신장하고 있다. 특히 작년 10월 신규 출시한 암환자식단의 경우, 3월 매출이 출시 첫 달과 비교해 140% 이상 증가했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엔데믹으로 외식 수요가 회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디푸드 식단 재구매율이 60%에 달하고 있다”며 “일반 가정간편식의 재구매율이 30~40%인 것을 감안하면 기대 이상으로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이런 메디푸드 인기에 대해 서울아산병원 등에 환자식을 제공한 경험과 제조 역량을 십분 활용해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한 메디푸드 제품을 선보인 게 주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그린푸드는 현재 ▲당뇨환자용(38종) ▲암환자용(18종) ▲신장질환자용(2종) 등 국내 최다인 총 58종의 메디푸드를 공식 온라인몰인 그리팅몰에서 판매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매일 색다른 식단을 제공하기 위해 신제품을 지속 개발하고 있다”며 “실제 냉장형 당뇨식단의 경우 전체 메뉴 36종 중 30% 가량을 분기별로 보완한 새로운 메뉴로 대체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그린푸드는 메디푸드 시장 확대에 발맞춰 제품 라인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58종인 식단을 내년까지 100여 종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작년말 식약처가 표준제조기준 규정을 예고한 ‘고혈압식단’을 현재 개발 중에 있으며 냉동형으로만 제공 중인 ‘신장질환식단’의 냉장형 제품 개발에도 조만간 나설 예정이다.
만성질환자뿐 아니라 건강관리 트렌드가 확산되는 상황에 맞춰 식단 관리를 받고자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메디푸드 식단을 제안하는 ‘맞춤 추천 서비스’ 개발도 계획 중이다.
- 신규확진 1만2천84명…1주 전比 1천여명 증가
- 편의점업계, ’고물가시대‘ 사회복지 플랫폼 역량 확대
- 유명카페 못지 않은 커피맛집 ‘홈카페’
- [2023 서울커피엑스포] 커피산업 5대 키워드 ‘B.L.E.N.D’
- 커피산업 트렌드 한눈에 …서울커피엑스포 오늘 개막
- 식유통家, 스포츠 지원에 두팔 걷었다
- [4월 1주 유통家 주요 소식] 배스킨라빈스, 챗 GPT 활용한 광고 영상 공개 外
- [바이오제약, 오늘] 동아제약, 건강기능식품 ‘이뮨챔피언’ 발매 外
- [4월 1주 유통家 신제품] 빙그레, 요플레 그릭 2종 출시 外
- 매일유업, ‘스타벅스차이나’에 아몬드브리즈 공급
- 식목일 맞은 유통家, 친환경 위한 ‘제로ㆍ클린’에 앞장
- 집에서 즐기는 ‘가성비’ 치킨
- K-푸드, 넷플릭스 보고 아마존에서 산다
- 야구 좋아한다면 여기 ‘주목’
- 농심·SK이노 등 식목일 맞아 나무 심고, 산불피해지역 지원
- 5월, 전국 면세점서 축제 열린다
- CJ푸드빌, 지난해 실적 큰 폭 개선…영업익 해외 비중 50% ‘눈길’
- 4년 만의 노마스크…N서울타워, 벚꽃 페스티벌
- 캠핑의 계절 왔다…캠핑용품과 먹거리 할인전도
- 700개 공공기술 이전 설명회 열린다
- 정부, 조선업계 금융 및 인력난 지원 나서
- 온오프라인 유통업계 ‘배송’ 역량 강화 이유는?
- 쉽고 빠른 중고차 거래, 중고차 서비스 눈길
- 한방으로 ‘피부도, 면역력도’ 지킨다
-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 개소
- 이번 주말엔 ‘하이볼’ 아님 ‘ㅇㅇ주’ 너
- ‘스몰 럭셔리’ 트렌드 속 ‘프리미엄 과일’ 러시
- 코로나19 신규확진 4천5명…소폭 감소세
- 신규확진 1만2천444명…1주전比 920여명 ↓
- 고영양·비건 브랜드 런칭…식유통家, 신성장동력 확보에 ‘열’
- 코로나19가 촉발한 ‘메디푸드시장’ ⓛ미국편
- 현대그린푸드, 연대 치과대와 ‘시니어 특화식 개발’
